었다. 그러나 부정적인 정서와 이러한 정서를 야기하는 스트레스적인 상황이 만연하더라도 소득과 교육수준 및 직업지위가 낮거나, 노인과 여성 등 사회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이 더 빈번하게, 더 높은 강도로 우울의 감정을 경험한다는 점은 정신건강에서의 불평등이 사회구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성인기에 흔히 발생하는 대표적인 정신건강 문제 중 중년기 우울증에 대해 살펴보고 학습자 본인이 생각하는 예방법에 대해 서술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성인기의 우울장애 성인기의 정신건강의 문제는 다양하지만, 주로 결혼 여부, 사회경제적 지위, 교육이나 종교, 가정의 재정 상태와 가구의 형태 등이 성인기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성인기의 직업은 개인의 만족감이나 성취감, 그리고 대인관계 및 경제적 안정의 원천으로 정신건강의 보호 요인이 되기도 하나, 실업이 |